약초로 만드는 약술 레시피

원료
인삼 50g, 숙지황 50g, 맥문동 100g, 당귀 50g, 오지마 50g, 음양곽 100g, 소주2,500ml


효능

배원익기, 보신영심 | 원기를 배가하여 기를 돕고 신을 보하고 심을 편안히 한다.
1. 몸의 전반적인 대사활동과 면연력이 약해진 경우
2. 집중력이 저하되고 건망증이 심해져서 학슴에 영향이 있는 경우
3. 얼굴 빛이 나쁘고 만성 피로에 시달리거나 병후에 몸이 허약해진 경우
4. 정력 감퇴가 있는 경우

제조법
음양곽을 도쇄하여 기타 약물과 함께 한 번에 소주 안에 넣고, 한 달이 지난 후에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여, 항아리 안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복용법
매일 1~2번, 매번 10~20ml정도를 복용한다.

원료
초백출 15g, 구기자 120g, 용안육 60g, 당귀 30g, 흑두 50g, 소주 2,500ml


효능
| 보신건비 – 신을 보하고 비를 튼튼히 하며 수명을 길게한다
1. 나이가 들어서 기력이 많이 약해진 경우
2. 어지럽고 사지에 힘이 없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경우
3. 관절이 시큰거리고 통증이 자주 유발되는 경우
4. 귀에서 위윙소리가 나고, 눈이 침침해지거나 혼탁해진 경우

제조법
당귀를 절편하여, 구기자와 초한 백출과 분쇄한 흑두와 용안육을 한번 소주에 담가둔다.
용기를 밀봉하여 15일후 개봉하여 사용한다

복용법
매일2번 복용하고, 매번 10~20ml 복용한다.

원료
구기자 30g, 복신 30g, 생지황 30g, 숙지황 30g, 산수유 30g, 우슬 30g, 원지 30g, 오가피 30g,
석창포 10g, 지골피 30g, 소주 3,000ml


효능
양심, 생정,심장의 기운을 좋게하며 정을 생겨나게 한다.
1. 특별한 건강상의 문제는 없지만 계속해서 건강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
2. 연로한 경우 오래 건강히 살고자 하는 경우

제조법
이상의 각 약물을 술내에 담궈서 밀봉하며 14일 후에 취해서 사용한다


복용법
매일 아침,저녁으로 각 10~20ml를 복용한다.

원료
인삼50g, 하수오 50g, 천문동 50g, 생지황50g, 숙지황50g, 구기자 50g, 맥문동50g, 당귀50g,
백복령30g, 소주 5000ml

효능
신을 보하고 정을 쌓는다. 간을 기르고 혈을 더한다
1. 이유없이 만성적인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
2. 땀을 많이 흘리고(헛땀을 흘리는 경우) 몸이 허약한 경우
3. 정력감퇴, 소변이 시원하지 않는 경우
4. 노년의 무력감이나 병후에 회복기에 있는 경우

제조법
상술한 각 원료를 쪼개고 갈아서, 소주에 넣어서 밀봉하고 음지에 가만히 둔다.
15일 후에 약의 찌꺼기를 여과하고, 다시 소주 2,500ml를 15일 동안 집어넣는다.
연후에 2번 그 약주를 침출하여 잘 흔들어 복용한다.

복용법
매일아침, 저녁 1회씩, 회당 10ml 복용한다.

원료
구기자, 국화, 숙지황, 육종용, 육계, 초진곡 각 45g, 소주 2000ml

효능 | 보익간신. 온양자음
간과 신장을 보하며 양기를 북돋우고 음을 보충한다.

1. 나이가 많지 않은데 기운이 없고 많은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
2. 전신에 힘이없고, 허리과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픈 경우
3. 이른 나이에 머리가 하얗게 샌 경우
4. 중년 남여가 항상 음용하면 신체가 건강해지고 노인이 복용하면 튼튼한 생활을 하며 오래 살 수 있습니다.

제조법
우선 모든 약을 잘라서 분말로 만들고 술통 안에 넣고 소주를 넣은 후 밀봉하여 우러나게 한다.
봄. 여름에는 5일간 담그고 가을. 겨울에는 7일간 담근 후 개봉하여 찌꺼기를 베거한 후 음용한다.

복용법
매일 2번 복용하고 매 복용시 10~20ml를 복용한다.

지황주

지황주 건강의 혈(血)을 잡았다!

음과 혈을 보하고 정을 채우고 정신을 맑게 한다는 지황주, 즉 신체의 혈액순환을 돕고 몸의 정기를 북돋우는 효과가 있다.

자세히 보기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비용 약 1만 1600원재료 하수오 200g, 소주1000㎖수오연수주 만들기1. 하수오를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2. 소주에 담가 밀봉한다3.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매일 한번씩 햇볕을 쬐어준다4. 담근지 10일 후 완성된다5. 술이 다하면 새 술을 부어 다시 담그는데, 맛이 담담해지면 그만둔다.주의사항 및 약재의 특성동의보감에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이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앤다. 갖가지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등을 피료하고 기(氣)와 혈(血)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또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 고 기록되어 있다. 하수오는 우리나라에서 난 야생을 써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재배한 것은 뿌리 모양이 대게 한 덩어리로 길게 뻗지만 야생을 구슬처럼 덩어리가 이어져 있다. 물론 가격도 비싸다.이런이들이 한잔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여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다. 몸이 허하거나 나이가 들어 노쇠한 사람, 쉽게 어지러운 사람에게 치료와 예방효과가 있다.음용법매일아침, 저녁으로 각 1회, 매회 15~20㎖를 마신다.음식궁합하수오는 영양이 풍푸하고 맛이 좋아 아이들도 잘 먹는다. 좋은 꿀에 저며 말랑말랑하게 된것을 그냥 먹어도 좋고 고구마처럼 쪄 먹어도 괜찮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나 노인들에게 좋은 음식이다. 또한 하수오는 인삼이 몸에 맞지 않는 소양체질의 사람에게 좋다. 인삼과 하수오를 함께 쓰면 약성이 서로 조화되어 효과가 배가 된다.허담원장의 이래서 좋다하수오는 흰머리를 검게하는 약재로 유명하다. 우리 피부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나이가 들면 모발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부족 해지며 머리가 하얗게 변하는데, 이때 하수오를 여러 번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보간신 즉, 우리몸에 에너지를 만드는 물질과 에너지를 소비했을 때 필요한 영양불질을 간신이라 하는데 하수오는 이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간신 약재는 오래 복용할수록 선천적인 우리 몸의 한계치를 극복할 수 있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킨다!병이 없는 사람에게 마시게 하면 체질을 강하게 하고 병을 미연에 박을 수 있다.

비용 약 12만 6100원재료당귀90g, 천궁30g, (불에 살짝 그슬린)백작60g, 생지황60g, 인삼30g, 초백출(볶은 백출)60g, 백복령60g, 자감초(구운감초)40g, 오가피150g, 대추120g, 호도120g, 소주5000㎖팔진주 만들기1. 각 재료를 썰어서 얇은 조각으로 만든다2. 모든 재룔르 소주에 담근 후 밀봉해 반드시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3. 처음4,5일 간은 1일 1회 정도 가볍게 술을 흔들어 준다.4. 1개월 후 밀봉한 뚜껑을 열어 맑은 액만 따라낸다5. 완성된 술은 찌꺼기를 걸러낸 후 복용한다6. 찌꺼기는 천으로 걸러낸 후 다시 술을 담근다주의 사항 및 약재의 특징당귀를 장기간 복용하면 콧구멍에 허열증상(몸이 허약하여 나는 열)이 나타날 수 있다. 통변작용이 있어 설사 증상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지황은 생약명으로 생지황,건지황,숙지황이 있다. 한약재로는 주로 숙지황을 사용하지만시중거래나 수출은 건지황이 쓰인다. 지황은 추위에 비교적 강해 월동이 가능하며 햇빛이 좋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팔진주에는 한약재가 아닌 생지황을 사용한다.이런 이들이 한잔체질이 원래 약하거나 골골한 사람, 소화가 잘 안되며 식사량이 작고 변이 무른 사람,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는 사람의 경우 오래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매년 병이 없는 사람에게 마시게 하면 체질을 강하게 하고 병을 예방할 수 있다.음용법매일1~2번, 10~20㎖ 복용한다. 마시는 양을 달리하더라도 취할 정도로 복용하며 안된다.음식궁합팔진주는 숙지황, 작약, 천궁, 당귀로 처방된 사물탕과 인삼, 백출, 복령, 감초가 처방된 사군자탕을 합한 팔물탕이 바탕이 된 술이다. 몸을 보호하는 열기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다시말해 함께 먹는 음식 중 찬 음식은 술의 효능을 떨어뜨린다.따뜻한 음식은 대부분 궁합이 맞는다.허담원장이래서 좋다.팔진주는 사군자탕과 사물탕을 합해놓은 팔물탕이 기본이다. 여기에 오가피, 대추, 호도를 첨가해 술을 담근다.팔물탕은 기화 혈을 보호하는 대표적인 약이다.오가피는 우리 몸의 근육이나 골격계를 키워주는 약재이고 대추는 몸을 부드럽고 충만하게 한다. 호도는 스트레스로 인해 몸의 건조함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체적으로 병을 없애고 예방하는 술이다.

‘생얼’을 가능케 하는 미용한방술음춘주는 몸에 생기를 불어넣어 주고 빈혈에 특히 탁월하다.피부가 건조하고, 면색이 밝지 않은 경우에 좋은 효과가 있다.

비용 약 11만 8200원재료인삼, 백출, 숙지황 각 15g, 당귀.천문동.구기자 각9g, 백자인.원지 각7g, 소주1500㎖음춘주 만들기1. 모든 재료는 미리 잘라둔다(썰은 약재 구매가능)2. 준비해 둔 병에 담고 재료가 잘 어우러지도록 소주를 가득 넣는다.3. 밀봉한 후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4. 처음4~5일 동안 때때로 액을 흔들어주어 소주에 약재가 잘 녹아들게 한다.5. 10일 후면 숙성이 어우러지며 완성. 여과지에 걸려 마셔도 되고 그냥 마셔도 상관없다주의사항 및 약재의 특징천문동, 백출, 백자인, 대추 등은 기름기가 많은 약재에 속한다. 따라서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눅눅해지지 않는다.냉장시설이 마땅치 않을 경우 일주일에 한번씩 햇볕에 잘 말려줘야 한다.이런 이들이 한잔 당귀와 백자인, 숙지황, 천궁이 만나면 심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심장의 혈액부족으로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잘 못이루거나 건망증과 어지러움이 반족하는 증상 등에 도움이 된다.지방성분은 장관을 부드럽게 하므로 노인 및 산후의 변비에 휴효하며 식은 땀을 흘리는 증상에도 사용한다.사상의한 면에서는 먹는 양도 적고 빙과류 같이 찬 것이나 생맥주 같은 것을 먹으며 설사하기 쉬운 소음인들에게 권할 만하다.음용법맹리2번 아침저녁으로 소주컵의 1/3가량씩 마신다. 따뜻하게 데워 마시면 더욱 좋다.음식궁합인삼은 효능이 다양한 데 비해 열량이 배우 낮은게 단점. 따라서 사람이 먹는 삭품 중에서 열랑을 가장 손쉽게 낼 수 있는 벌꿀을 넣으면 좋다.인삼을 먹을 때 꿀을 찍어 먹거나 인삼정과로 먹을 때 힘을 낼 수 있듯이 인삼과 꿀은 매우 합리적인 배합이다.음춘주 역시 인삼이 주가 되는 하방술로 만드는 과정에 꿀을 넣으면 맛도 좋고 영양가도 좊아진다.이원욱한의사의 이래서 좋다.따스한 봄 하늘을 가르쳐 ‘음춘’이라 하는데, 이 시기엔느 만물이 생장하고, 살리는 의미가 많다. 음춘주의 재료가 되는 인삼, 백자인, 숙지황등이 어우러지면 음양의 편차가 없이 따스한 약이 된다.정신을 오래가게 하고 기혈을 더해주어 몸에 생기를 불어넣어 ‘음춘’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피부가 건조하고, 면색이 밝지 않고, 잘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경우에 좋은 효과가 있다.

냉증에 탁월한 효능몸에 온기를 불어넣어 따뜻하게 해주며, 몸이 차기 때문에 생기는 여러가지 병증에 도움을 준다.

비용 약 19만 4900원재료육종용50g, 우슬40g, 토사자20g, 제부자20g, 초인30g, 육두구인20g, 보골지(볶은 것)20g, 지실25g, 파극천(볶은 것)20g, 목향15g,녹용(털을 태워 없앤것)10g, 육계20g, 사상자15g, 포강20g, 소주 3000㎖종용강장주 만들기1. 모든 재료는 미리 잘라둔다2. 소주에 모든 재료를 넣고 한번 헹궈낸다.3. 채에 받힌 후 준비한 술병에 차곡차곡 채운다.4. 소주를 부은 후 밀봉한다. 이때 재료가 모두 푹 잠기도록한다.5. 처음 4~5일은 하루 1회 흔들어주며, 7일 후에 개봉하여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6. 액은 욕기에 다시 담고 생약 찌꺼기 1/10을 함께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7. 1개월 후에 여과지로 거르면  흑갈색의 약술이 완성된다.주의사항 및 약재의 특징종용강장주의 주재료인 육종용은 신선한 것은 생으로 먹어도 되며 통채로 물에 깨끗이 씼어 말린 후 사용해도 된다. 육종용 외에도 종용강장주에는 10가지 이상의 약재가 들어간다. 따라서 숙성된 후에는 채에 받쳐 걸러줘야 맑은 형태의 술을 마실 수 있다.게다가 잘게 잘라진 재료에서 생기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효과도 있다. 이때 생약 찌꺼기를 1/10 정도 함께 넣어주면 좀더 진하게 우러난 술을 얻을 수 있다.이런이들이 한잔육종용으로 만들 술은’스테미너 보양술’로 불릴만큼 남성들에게 좋다. 신장의 양기를 보하고 정액과 혈을 불려주어 신의 양기가 허하여 생긴 정력감퇴, 고환위축, 전립선염 등에도 탁월하다. 노인들이 육종용으로 만든 술을 장기간 먹게 되면 젊은 소년이 된다고 할 정도다. 부부가 함께 마셔도 좋은 한방술이다.음용법매일2번, 아침과 저녁 공복에 따뜻하게 해서 소주컴의 1/3 정도의 양으로 마신다음식궁합종용강장주는 사상의학의 측면에서 소양인에게 알맞다. 소양인은 몸에 열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열을 낮춰주는 음식이 잘 어우러진다. 쌀보다는 보리가 좋고 소고기보다는 돼지고기가 어울린다. 오이, 수박 등 찬 성질을 띠는 음식이라면 어느 것이든 좋다. 육종용이 양기를 돋워주는 약재라서 보양음식에 곁들이는 사람이 많은데 오히려 너무 많은 열을 발산해 역효과를 볼 수 있다.이원욱 한의사의 이래서 좋다[신농본초경]에서 육종용은 ‘주로 오로칠상에 쓰이고 보하는 기능이 있으며 한열통의 줄기를 제거하고 오장을 기르며 음을 강하게 하고 정기를 이롭게 한다’고 했다.또한 면역 증가 효과, 대사조절, 신경계통의 중요한 조절하여 여성성기의 냉증, 복부에 냉통, 대하가 맗고 묽게 나온느 증상, 자궁이 차고 임신 못하는 증상, 허리가 시리고 무릎이 약해지는 증상에 모두 이로운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