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고품질의 한약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는 옴니허브입니다. ٩(ˊᗜˋ*)و

날이 부쩍 따뜻해진 이번 주,

저희 옴니허브에서는 산물을 수매하러 제주도에 다녀왔습니다!

역시 귤의 나라..!!

2020년 한해동안 키우고 겨울내 집에서 직접 과피를 제거하여 건조한 햇산물을

직접 눈으로 보고 수매하였는데요!

2021년 첫 산물 수매의 현장!

저희 옴니허브에서 소개해드립니다. 😀

*


제주 산물 작목반은 옴니허브와 20년 이상 계약재배 중인 곳으로

옴니허브 CCS 농가 작목반 중 가장 오래된 곳입니다.

매년 꾸준히 양질의 산물을 제공해주셔서

저희 옴니허브에서도 자신있게 산물을 한의원에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농가에 도착하여 우선 농가분들과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누고 산물의 상태를 체크해봅니다.

2021년 올해 역시 아주 좋은 품질의 산물을 만날 수 있었는데요!

촛점은 나가버렸지만..^^; 그래도 선명한 노란색이 너무 예쁜 것 같아요!

건조 상태 Good! 색 Good! ٩(●’▿’●)۶

산물은 진피(귤)가 아닌 제주도의 토종 귤로 진귤피라고도 합니다.

*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산물과 진피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현재 시중에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진피’는

일본에서 제주도로 들여온 온주밀감의 껍질을 말합니다.

제주에서 대부분 온주 밀감을 재배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보편적인 귤이 되면서

식약처에서 진피는 온주 밀감만 인정하고 있습니다.

진피는 껍질 속이 흰 색을 띄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다만 시중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주 밀감은 재배시 약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렇다보니 일반 진피의 경우 약으로 쓰기엔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꼭 무농약 혹은 유기농 진피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저희 옴니허브의 진피는 무농약·유기농만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۶•̀ᴗ•́)۶)

*

다시 산물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볼까요?

CCS 산물 작목반분들이 알아서 잘 해주셨겠지만

그래도 옴니허브에서 한번 더 산물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줍니다!

소중한 CCS 한의사분들께 보내드릴 약재이니까요! ଘ(੭*ˊᵕˋ)੭»ㅡ❥

산물은 일반적인 진피(온주밀감)와는 달리 속이 노란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 1-2년이 지나고 나면 산물도 속이 하얘집니다.)

진귤피라고도 불리며 현재 옴니허브에서는 농산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산물은 진피보다 병해충에 강하여 농약을 거의 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약재로 사용하실 때 진피보다는 산물을 추천드립니다.

이제 대구로 안전하게 가져오기 위해 차에 차곡차곡 실어줍니다.

이렇게 짧았던 산물 수매기가 끝이 났습니다!

이렇게 수매해온 산물은 이제 저희 옴니허브에서 판매가 될 예정인데요.

한해동안 잘 키운 고품질의 햇산물을

한의사분들께 공급드릴 수 있어 벌써부터 기분이 좋습니다. (ㅅ´ ˘ `)♡

*

다만 저희 옴니허브와 20년 이상 거래를 해온 산물 CCS 작목반분들이 이제는 연세가 많으셔서 자꾸만 인원이 줄고 있는 실정입니다.

작목반 분들의 건강이 많이 걱정되지만 그래도 작목반분들께서는 힘이 닿는 대로 앞으로도 저희 옴니허브의 산물을 책임 져주시겠다 말씀해주셨습니다.

건강하셔서 오랫동안 저희 옴니허브와 거래하고 또 한의원에 양질의 산물을 제공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

*

100% 국산 약재의 힘!

프리미엄 산물을 곧 옴니허브에서 만나실 수 있으십니다.

안녕하세요! 옴니허브입니다.
(ღ’ᴗ’ღ)

거창에 다녀온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번엔 감초를 위해 다시 재배지로 향했습니다.

저희 옴니허브가 도착했을 땐 이미 작업이 한창이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국산 감초는 이미 시중에 나와있는데?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현재 이미 시중에 약성이 있는 국산 감초들이 유통이 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옴니허브에서는 감초의 가장 중요한 성분은 리퀴리틴이라고 생각하여 리퀴리틴이 풍부한 감초를 재배하길 원하고 있었습니다.

(현재 약재의 기준에는 리퀴리틴게닌과 글리시리진 두 성분으로 기준이 잡혀있고 리퀴리틴은 기준에 해당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 결과 리퀴리틴 성분이 풍부한 국산 감초를 만들기 위해 옴니허브와 CCS 작목반 팀이 힘을 합쳐 연구·개발하고 있었는데요. ◟ʕ´∀`ʔ◞

긴 연구 끝에 2021년부터 옴니허브표 국산 감초 시범재배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그리하여 2021년 감초 시범재배를 위한 모종을 채취하고 국산 감초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이번 감초 재배지 방문의 목적이었습니다.

저희 옴니허브에서 시범재배를 위해 채취한 감초입니다.

튼튼하게 잘 자란게 보이시나요?

이렇게 채취한 감초는 옴니허브의 수입 약용작물 국산화 연구를 진행하는 CCS농가로 옮겨져 시범재배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아주 커다랗고 튼튼하게 큰 감초를 들고 기분 좋게 웃으시는 모습을 보고 있으니 저희 옴니허브 역시도 뿌듯함이 느껴지네요! ୧(๑•̀⌄•́๑)૭

옴니허브의 수입 약용작물 국산화 프로젝트는 감초가 처음은 아닌데요!

2020년동안 저희 옴니허브는 절패모를 연구하여 재배에 힘썼습니다.

그리고 2021년! 드디어 일부 생산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렇게 생산된 절패모는 판매를 위해 작업하여 저희 옴니허브에 도착했습니다!

실한 것이 수입된 절패모와 비교해도 결코 뒤처짐이 없을 것 같습니다. ٩(๑˃̵ᴗ˂̵)و

2021년 한 해간 안정적으로 판매가 된다면 앞으로도 꾸준히 양질의 국산 절패모를 공급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 감초 이야기로 돌아가볼까요?

채취를 위해 수확한 감초의 샘플을 옴니허브에도 한 뿌리 가져왔습니다.

아주 튼실하고 빛깔이 좋아 차후에 수확될 감초에도 기대가 큽니다.

앞으로도 좋은 품질의 한약재를 개발하고 또 공급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는 옴니허브가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옴니허브와 함께해주셔서 양질의 한약재를 한의원에서 편하게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쌀쌀해진 10월, 이제 당귀의 수확철을 맞이하였습니다.

옴니허브는 지난 10월 22일 강원도 인제까지 사무실이 있는 대구에서 4시간 반 가량을 운전해서 도착했습니다.

수확이 한창이었던 강원도 인제군의 당귀 밭.

포크레인으로 당귀를 뿌리까지 퍼 내고 난 다음 작업자 분들이 흙을 털어내고 뿌리 부분을 분리 합니다.

올해 여름 장마의 피해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뿌리가 굵게 나오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산 비탈에서 재배를 하고 이랑을 잘 내 준 인제의 CCS농가분의 농사 노하우로 쓸려 내려가는 피해는 막을 수 있었습니다.

태풍의 피해는 작물의 크기가 줄어든데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내년 농사를 위해서는 종자용으로 키운 당귀에서 꽃이 피고 씨앗이 잘 영글어야 하는데 장마로 인해서 종저용 당귀 또한 씨앗을 잘 만들지 못했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당귀의 종자를 구하기 어려웠지만 인제 CCS농가에서는 다행히 내년용 종자를 잘 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사진으로 남기진 못했지만 당귀를 수확하고 난 밭에 잘 익은 푸른색 고추가 많이 떨어져 있었습니다.

농가 사장님께서 이 밭에 당귀를 심기전 고추를 심었었는데 고추 씨앗이 그 때 떨어져서 당귀 사이사이에 고추를 볼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고추와 당귀를 번갈아 가면서 키우면 당귀와 고추 둘다 병충해에 더 강해진다고 합니다.

이런 사장님의 노하우 덕분에 농약을 치지 않고 무농약 인증을 받은 건강한 당귀를 키워 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10월 말까지 수확을 끝낸 당귀는 이제 세척 후 3개월 동안 건조의 과정을 거칩니다.

인제의 추운 겨울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영양분을 양껏 품은 채 건조가 될 인제군의 청정 당귀는 내년에 옴니허브를 통해 한의원으로 공급 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