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법제 방법

신곡은 육곡(六曲) 또는 육신곡(六神曲)이라고도 하며, 밀가루에 행인(杏仁)ㆍ적소두(赤小豆)ㆍ청호(菁蒿)ㆍ창이(蒼耳)ㆍ랄료(辣蓼)의 6가지 약재를 찧어서 취한 즙을 고루 섞어 반죽하여 떡처럼 빚어 햇볕이 잘드는 곳에서 오랫동안 발효시킨 약재입니다.

개똥쑥(개사철쑥)과 참여뀌, 창이는 굵은 대는 버리고 잔 가지와 순, 잎만 채취하여 잘게 썬 다음 녹즙기에 갈아 생즙을 냅니다.
생즙은 그날 그날 채취해서 작업해 사용합니다.
소가 풀을 뜯고 지나간 자리에는 여뀌만 남는다 할 정도로 매운맛이 강한 참여뀌만 하더라도 당일날 즙을 짤때면 한방울이라도 얼굴에 튀었다간, 그 부위가 얼얼할 정도로 싸한 기운이 감도는데 하루만 지나면 그런 기운이 사라져 버립니다.  

국산 통밀과 미리 갈아놓은 행인, 적소두를  잘 섞고, 여기다 짜낸 즙을 뿌리면서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다음 롤러에 빻아 압축성형하는 과정을 거친 신곡은 4개월 정도를 실온에 방치하여 황백색의 곰팡이가 필때까지 자연 발효시킵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충분히 잘 발효된 신곡은, 그 이름에 걸맞게 현대인들의 소화기 장애에 신령스러운 작용을 하게 될것입니다.

01 개사철쑥과 여뀌, 창이를 한데모아 생즙을 짜냅니다. 생즙은 매일매일 작업분량만큼씩만 짜서 사용합니다.
02 행인은 껍질채 갈아서 사용합니다.
03 적소두는 국산팥을 사용하며 역시 행인처럼 갈아서 사용합니다.

04 05 6가지 재료(적소두, 행인, 청호, 랄료, 창이, 국산통밀)를 혼합시킨 신곡을 압축성형한 뒤 충분히 발효시킵니다.

작약은 그 성질이 많이 차서, 초(炒)법, 주자(酒炙)법, 초자(醋炙)법등의 법제를 하여 비위를 補하고 찬성질을 완화시킵니다.

※ 보료로 사용되는 술은 쌀껍질안의 효모를 활성화하는 효모배양기술을 이용하여 특별히 제작한 15% 도수의 맑은 황주입니다. 식초는 현미식초를 사용합니다.

작약 생품이 養血斂陰하며 平抑肝陽하는 작용이 있으나, 寒하고 약성이 강하여 炒함으로써, 약성을 완화시키고 肝을 보해줍니다.
炒하면 강한 성질이 완화되고 養血斂陰작용이 증가하며 酒炙하면 酸
寒한 성질이 완화되어 和中緩急하며, 혈을 잘돌게 하고, 특히 산후의 복통에 좋으며, 醋炙하면 입간하며 수렴작용이 증대하고 消肝解鬱하여 부인들의 血병에 좋습니다.

 

“막힌 것을 뚫어내는 한방의 응급상비약, 죽력!”100년을 산다는 대나무는 부드러운 죽순이 흙을 뚫고 나와 열흘만에 죽순을 싸고 있는 꺼풀이 떨어지고 竹이되어 빠르면 하루에 1m씩 자라나 1년이면 키가 다큽니다. 맹렬한 기세로 땅을 뚫고 올라와 하늘을 향해 치솟는 대나무의 성질을 전통방법으로 담아내어 죽력을 만듭니다.| 옴니허브의 죽력 제조방법대나무를 잘라서 쪼갠 후 전통옹기에 차곡차곡 재워 넣습니다.황토를 이겨 옹기단지 외부에 둘러 열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합니다.옹기단지를 거꾸로 하여 죽력을 받을 수 있는 용기 위에 엎습니다.왕겨를 단지 주위에 켜켜히 쌓아 은은한 文火로 가열하여 독내부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합니다. 날씨에 따라 3일에서 5일사이에 받아낸 죽력을 용기에 담아 물에 담구어 두어 화근내를 줄인 후 여과와 정제의 과정을 거친 후 죽력을 완성합니다.| 죽력의 효능죽력의 제조를 통해 약성을 짐작 해 보면 죽력은 대나무를 가열하였을 때 가장 빠르고 급한 부분이 기체화 되어 튀어나오는 것을 받아내어(증기가 식혀져 물방울이 되는 露製의 과정)만들어 집니다. 그러므로 성질이 급하고 빠르며 예민하여 적은 양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냅니다.말초혈관의 순환장애로 일어나는 肢體의 痲木이나 中風前驅症, 안면신경경련이나 마비, 급작스런 기침이나 발작, 흉민 흉통(煩滿咳逆 胸悶短氣) 극심한 두통등의 응급증상, 소아의 해열 (食滯 感冒로 인해 소통이 안되어 오는 發熱에 조금씩 자주 복용시킴) 淸熱豁痰 鎭痙通窺의 작용이 있으므로 임상제증에 응용가능합니다.| 옴니허브 죽력의 복용법성인은 20ml를 (5ml씩 4회) 1일 기준으로 하되 증상에 따라 용량을 가감합니다.소아는 용량을 작게하여 자주 먹이는 것이 더 좋습니다.| 주의사항죽력은 성질이 차고 급하므로 단기간에 복용하고 장복은 피하시는 것이 좋다. 寒嗽와 脾虛便溏者는 복용을 주의하여야 한다. 오래두면 대나무의 섬유성분이 응겨 침전물이 생길 수도 있다.

| 용골의 선별과 세척일반적으로 용골은 작은 것보다 큰 것이 비싸다. 크기와 형태를 잘 검정하여 제대로 된 용골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선별된 용골은 다시 세척과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하다.오랜 세월동안 땅속에 묻혀서 화석화되는 동안 뼈사이의 틈으로 각종의 이물질이 끼어 있으므로 쇠브러시를 사용하여 꼼꼼히 제거한 후 세척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좋은 용골은 혀끝에 대었을 때 당겨 붙는 흡착력이 아주 강하다.| 하용골하용골은 1000도씨 이상 올릴 수 있는 화덕에서 煆한다.일반적으로 화덕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한번에 작업할 수 있는 량은 많지 않다.온도가 내려가기를 기다렸다가 화덕에서 용골을 꺼내면 마치 돌을 구운 석회와 비슷하다.다시 석영처럼 반짝이는 부분을 제거한 후 분쇄기에서 곱게 간다.| 하용골의 응용1) 용골에 풍부한 탄산 ·인산칼슘, 철, 칼륨등의 무기질성분은 골질의 원료가 되어 골절상이나 칼슘부족으로 인한 골성질환에 이용된다.2) 수천, 수만년동안 땅속에 침적되어 가라 앉아 형성된 甘澁質重한 성질은 浮陽하는 기운을 가라앉혀 心悸不眠의 불안 초조와 驚癎癲狂의 정신병을 치료한다.3) 또한 혀끝에 올렸을 때 입안에 고인 침을 말릴정도로 착 달라붙는 흡착력과 강한 收斂작용은 遺精, 崩漏, 帶下 自汗 盜汗 등의 脫亡하는 병증을 치료하고 외용시에 생기염창하는 작용을 한다.옴니허브에서는 중국현지의 작업장과 협력업체들과 더불어 원료의 선별세척에서 가공포제까지의 전과정을, 힘들었지만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灸法

자법(灸法)은 낮은 온도의 문화로 오랫동안 열을 가해서 약재를 노릇노릇하게 구워내는 방법으로 약재 고유의 성능을 알맞게 변화시키고 부작용과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