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1월이지만 초여름 같은 날씨에 제주 친환경 진피, 산물 농가에 다녀왔습니다.

11월 여행 다니기 딱 좋은 날씨입니다. 제주도에 오니 아직까지 추위보다 더움이 더 많았습니다. 가을임에도 말이죠.

첫번째 행선지로 제주시 소재 CCS 친환경 진피농가를 방문하여 전반적인 작황과 품질 점검을 진행 하였습니다.

올해에는 농가에서 청귤 작업량이 많아, 옴니허브로 납품되는 수량이 조금 줄어지만,

여느때와 다름없이 친환경 인증 농지에서 잘 관리된 질 좋은 상품의 진피를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시 밭을 점검 한 후 다음 행선지로 애월읍 소재 산물 농가에 방문하였습니다.

옴니허브와 오랫동안 함께 해온 농가로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로 재배지와 작업장들이 잘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산물은 제주 토종 진귤로 크기가 작고 향이 강합니다.

씨가 있어 산물 역시 차로 많이 우려먹습니다.

현재 공정서 고시 기준으로 산물은 진피로 사용 하지 못합니다.

하여 산물은 현재 식품으로만 유통되고 있습니다.

농가도 갈수록 줄어들고 수확량도 점차 줄어 점점 보기 힘들어져 아쉬움이 남습니다.

옴니허브에서는 점차 사라져가는 힘있는 우리약초를 살리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옴니허브는 농가와의 협업으로 밭에서부터 한의원 약장까지 이어지는 CCS클린체인 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11월 11일, 저희 옴니허브는 제주도 친환경 유기농 진피 재배지를 방문하였습니다.

진피는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재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진피는 귤 꼅질을 사용하는 터라 농약 문제에 있어서 예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옴니허브는 20여년 전 부터 계약재배를 하여 친환경, 유기농 농법으로 귤을 재배하는 CCS농가와 계약재배를 하여 제주도 친환경 진피의 수급과 안전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친환경 진피 ccs 농가]


이날 진피 농가 사장님께서는 유기농으로 재배되는 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해 주셨습니다.


특히 상단에 있는 두장의 사진 처럼 껍질이 하얗게 변하거나 상처가 생긴 귤은 농약을 절대 치지 않고 농사를 짓다 보니 자연적으로 생기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꼭 벌레가 먹는게 아니라 비가오거나 바람이 불면 귤에 많은 상처가 생긴다고 합니다.

하지만 위에 있는 사진을 보면 껍질이 매끈한 귤이 있죠? 이 귤은 우리가 익히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귤입니다. 아무래도 껍질이 상처나있고 하얀 물질이 보이면 소비자들이 곰팡이가 폈다고 생각하거나 상했다고 생각하여 인기가 없기 때문에 상처가 생기는 즉시 농약을 쳐서 상처를 낫게 한다고 합니다.하지만 이런 귤들이야말로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되는 귤이기에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 날은 제주도 친환경 유기농 재배하시는 다른 사장님과도 많은 이야기를 하고 왔습니다.
이 사장님께서는 감귤연구소의 박사님과 귤에대한 연구도 진행했는데 그 연구결과, 친환경 재배한 귤 껍질의 흰 상처부분에서 스코파론이란 물질이 더 많이 나온다는 결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스코파론이란, 감귤이 병충해와 싸울때 스코파론이란 물질을 만들어 내어 병충해에 저항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처가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즉, 껍질이 못생겼다고 무조건 하품이 아니라 상처가 있는 귤이 더욱 더 당도도 높고 몸에도 좋고 저장기간도 길다고 합니다.
그렇게 재배한 귤로 진피를 생산해내니 약성도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겠죠.

또한 이 사장님께서는 귤나무를 키우며 유황농법을 적용 시켰다고 합니다. 유황가루를 발효하여 나무에게 뿌리는 방법입니다. 유황의 성분이 귤의 착색을 도와주기도 하고 또한 유황기능성농산물을 만들고 계시다고 합니다. 유황을 직접 먹는다면 보약보다 낫겠지만 일반 유황은 무기유황이라 하여 인체에 흡수가 안됩니다. 하지만 유황오리처럼 오리가 유황을 먹었을때 비로소 유기유황이 되어 인체에 흡수가 되는 것과 같이, 이걸 귤 나무에 적용시켜 식물이 흡수하여 유기유황화 된 귤을 사람이 먹었을때 비로소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 올해는 유황농법을 적용한 진피가 수확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옴니허브는 매년 이렇게 제주도의 CCS 계약 재배 농장을 방문하여 귤 농사 작황을 확인하고 또한 더 좋은 진피를 생산하기 위해 농가와 함께 연구하며 한의원에 납품할 우수한 진피를 공급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6일 제주도 유기농 감귤 재배 농가를 방문 하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마을 어르신들 께서는 그동안 각자 작업해 두신 진피를 마대자루에 담아 쌓아둔 채 마을 농가 대표님의 창고에서 이른 아침부터 우리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계신다.

자세히 보기